본문 바로가기
IT

컴퓨터 저장 용량이 적게 표시되는 이유를 알아보자

by CrewFrank 2024. 3. 20.
728x90
반응형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카드(GPU), 램(RAM)처럼 성능과 직결된 부품들의 조합입니다. 사용하려는 목적에 따라 저장 용량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용자가 있을 것입니다. 

컴퓨터 저장 용량이 실제보다 적게 표시되는걸 본 적 있지 않으신가요? 실제 표기하는 용량은 실제보다 적습니다. 

오늘은 그 이유를 알아보려 합니다. 

#목차

1. 컴퓨터 단위의 이해
2.제조사와 운영체제 계산방법 차이
3.사용자 입장에서의 문제점

 

1.컴퓨터 단위의 이해 

컴퓨터는 여러 가지 단위로 저장 용량을 표기합니다. 바이트(Byte), 킬로바이트(kbyte)가 있습니다. 바이트에서 10의 3승을 곱하면 킬로바이트입니다. 1킬로바이트는 1000바이트와 같습니다. 

킬로바이트에서 10의3승을 곱하면 메가바이트(MB)입니다. 기가바이트(GB), 테라바이트(TB) 동일합니다. 

순서대로 나열하면, 

Byte < KB < MB < GB < TB 순입니다. 

 

2.제조사와 운영체제 계산방법 차이 

저장 장치 제조사와 운영체제가 용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릅니다. 하드디스크 HDD, SSD와 같은 저장 장치를 제조하는 업체는 SI접두어 규칙을 기준으로 용량을 표기합니다. 즉 10진법을 활용합니다. 

하지만 윈도우와 같은 운영체제는 10진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다 알고 있듯이 컴퓨터는 2진법이 기본입니다. 

제조사가 10진법으로 계산한 용량을 2진법으로 환산하면 표기되는 용량이 줄어듭니다. 

예를 들면, 국제단위계 접두어 규칙은 10의 3승으로 (1000) 단위를 구분하고, 운영체제는 2의 10승 (1024)으로 단위를 나눕니다. 운영체제는 1024라는 숫자를 곱하고 나눠서 단위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1TB = 1024MB, 1MB=1024Byte인 거죠.

 

제조사도 계산 방식에 따른 용량 표기 차이에 대해 안내는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운영체제에서 이런 현상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운영체제에 따라 다르기도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는 2진법으로 용량을 표기합니다. 애플의 맥 OS는 십진법으로 용량을 보여줍니다. 구매한 제품과 운영체제에 나타난 용량을 똑같이 나타냅니다. 

 

3. 사용자 입장에서의 문제점

사용자 입장에서는 표기 용량이 줄어드는 것은 손해 보는 기분을 들게 합니다. 고용량 저장장치일수록 차이는 더 커지게 됩니다. 

실제 미국에서는 이러한 차이로 소송도 벌어진 적이 있지만 양측의 합의로 종료가 되었습니다. 사용자가 저장 장치를 구매할 때 할인을 받거나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제조사는 10진법으로 용량을 표기했다는 안내문을 고지하도록 했습니다. 

 

오늘은 컴퓨터 저장 용량이 적게 표시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종합적으로 2진법과 10진법 계산의 차이였습니다. 

고용량일수록 그 차이는 커지기 때문에 구매 시 반드시 확인하여 손해 보시는 일이 없었으면 합니다. 

 

"이 글은 테크플러스 윤정환 기자님의 글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