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속에 숨겨진 사회적 이슈 알아보자
매일 사용하는 인공지능 AI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요즘 우리 일상에서 AI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발생된 사회적인 이슈들이 숨어 있을 거 같은데요, 그 이슈에 대해 알아보며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려 합니다.
# 목차
1.개인정보 보호문제
2. 알고리즘 편향성 문제
3. 일자리 변화에 따른 실업위기
4. 디지털 격차
인공지능 AI 기술은 지난 수년 동안 빠른 속도로 발전했습니다. 우리 삶에 분명하게 혁신적 변화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사회적 이슈도 많이 불러왔습니다. 이제 우리는 발생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1. 개인정보 보호 문제
인공지능은 대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많이 필요로 하는 만큼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따라오게 됩니다. AI 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불법적으로 사용되거나 유출될 우려가 존재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철저한 보호 정책이 필요합니다.
2. 알고리즘 편향성 문제
AI 시스템의 핵심은 알고리즘입니다. 이런 경험들 있으실 겁니다. 친구랑 대화도중 구두쇼핑에 얘기를 했을 뿐인데 갑자기 인터넷화면에 구두화면들이 따라오곤 하죠. 이것이 알고리즘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편향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인 차별도 야기 할 수 있습니다. 얼굴인식 기술은 인종, 성병, 연령 등의 특성에 따라 편향성을 가질 수 있죠. 이러한 편향성은 인공지능 시스템의 정확도와 공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일자리 변화에 따른 실업위기
인공지능의 발전은 일자리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기계 학습과 자동화 기술 적용으로 일부 직업은 사라지거나 대체되고 있습니다. 일자리 변화는 큰 사회적 문제입니다.
공장에서 로봇이 인간 작업자의 역할을 대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대규모 실업이 야기되고, 사회적 불평등도 증가 시킬 수 있는 문제입니다.
4. 디지털 격차와 기술 접근성
AI기술의 발전은 기술 접근성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고도의 전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이것은 디지털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지역 및 저소득층의 경우도 AI 활용이 어렵습니다. 이런 격차를 해소하기위한 정책들이 많이 나와야 하는데 요즘 국회 상황 보면 한숨만 나오네요. 정책이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기술의 발전은 정책 및 규제의 새로운 접근을 요구합니다. AI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잠재력과 함께 사회적, 경제적, 법적 측면을 고려하는 규제와 정책이 절실합니다. 우리 사람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이렇게 많은 사회적 이슈들은 떠안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문제들을 해결해 나갈 정책들이 뒷받침되고 있지 않습니다.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인식하고 대응하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가 될 것입니다. 누구 하나만 잘한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닙니다. 모두 함께 노력하여 정책을 뒷받침하고, 인공지능 발전을 통해 사회적으로 지속 가능한 세상을 구현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