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ily Report

비만은 뇌속에 답이 있다 : 음식중독의 루트를 알아보자

by CrewFrank 2024. 3. 22.
728x90
반응형

2024년 세계 뇌 주간 행사가 개최 됐습니다. 식욕과 음식 중독이 어떻게 우리를 살찌게 하는지에 대해서 서울대 최형진 교수는 강연했습니다. 세계 뇌주간 행사는 일반인들에게 뇌과학 연구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92년부터 매년 3월 셋째 주에 열립니다. 서울대 최형진교수는 강연에서 비만 치료제가 어떻게 살을 빼는지 원리도 밝혀지지 않아 비만 극복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다고 말했습니다. 

 

1. 비만은 뇌의 중독 현상이다 

 세계 뇌주간 강연에서 비만은 음식 중독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왜 그런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만은 결국 욕망의 문제 입니다. 이제는 생존을 위해 맛없는 것도 먹어야 하는 시대가 아닙니다. 지난 몇 십 년 사이 국내에서도 즐거움을 위해 음식을 먹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맛있는 음식도 욕망사업 중 하나가 된 것입니다. 

인간의 뇌는 구석기 시대나 지금이나 똑같은데 왜 음식중독에 빠질까요?

뇌에 새로운 진화가 일어난 것은 절대 아닙니다. 같은 뇌인데 최근에는 어렸을 때부터 중독적인 상황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뭔가 잘했을 때 어른들이 사탕이나 초콜릿, 과자를 주는 것입니다. 이것은 도박이나 마약에 빠지는 것처럼 열심히 공부하거나 말을 잘 들으면 보상이 생기는구나 하는 식으로 중독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중독현상은 현대인이라면 보편적으로 겪는 문제입니다. 거의 다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아주 심한 사람과 덜 한 사람은 존재합니다. 심하고 덜하다의 차이는 어렸을 때 부모가 어떻게 했는지가 95% 결정하는 것입니다. 나머지 5%는 학교나 다른 곳에서 결정됩니다. 

 

2. 음식중독의 해결방안 

 대부분의 사람들이 도박이나 마약에 빠지는 것은 심각하게 여기지만 음식중독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가 나서야 합니다. 담배처럼 말이죠. 그동안 담배의 해악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져 흡연자가 많이 줄었습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음식중독도 해결해 나가야 합니다. 

 

3. 위고비는 완벽한 치료제일까?

위고비는 작년 FDA 승인을 받은 미국 일 리 이 릴리의 젭바운드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유사체 계열 비만 치료제로 제약업계를 흔들고 있습니다. 이 물질은 밥 먹을 때마다 한 번씩 나와서 포만감을 느끼게 합니다. 배부르다는 느낌 말고는 다른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약의 효과는 좋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투약을 중단하면 바로 체중이 원래대로 돌아가기도 합니다. 이약을 평생 복용해야 하는 것이죠. 제약회사의 노예가 되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당뇨나 고혈압 약과 같이 말이죠. 

비만 치료제의 작용원리는 아직 아무도 모릅니다.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가 판매되고 나서 나중에 원리가 밝혀진 것과 같습니다. 정확히 위고비는 2005년 당뇨병약으로 승인 됐습니다. 

 

4. 완벽한 비만 치료는 무엇일까 

생활 속에서 가족, 사회와 같이 음식 중독을 해결해야 합니다. 음식중독이 심한 사람은 식욕을 참지 못합니다. 마약이나 도박 중독자가 다시 유혹에 빠지는 것과 흡사합니다. 이런 중독은 약이 아닌 사회와 가족 속에서 함께 해결해야 합니다. 

우선 정책적인 도움이 가장 우선시돼야 할 것입니다. 예를 들면 아이들이 보는 프로그램 전후로 설탕이 잔뜩 들어간 디저트 광고를 중단한다던가, 초등학교 자판기에는 콜라를 없앤다던가 하는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입니다. 

 

향후 연구개발이 더 발전되어 뇌에서 음식중독을 일으키는 과정이 밝혀진다면 중독 또한 알약하나로 치료가 가능한 세상이 오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 단계에서는 중독을 일으키는 과정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계속해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조만간 식욕을 조절해 주는 안전한 약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됩니다. 

 

728x90
반응형